건강 위해 식후 산책 오히려 독???

건강을 위해 식후 산책을 하는 사람이 많다. 산책을 하면서 소화를 시키거나 몸에 활력을 주기 위해서다. 하지만 식후 산책이 오히려 독이 되는 사람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식후 걷기, 지방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 식후 걷기는 몸에 쌓이는 지방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식사를 하면 위장에서는 음식을 잘게 분해한다. 이 과정에서 음식물의 영양소는 한 번 더 갈라지고 포도당, 아미노산, 지방산 등으로 만들어진다. 분해된 것은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식사를 마친 뒤 바로 앉거나 눕게 되면 신체 활동량이 없어 영양소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 않고 지방으로 변환된다. 특히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식후 산책이 권장된다.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식후 고혈당 상태가 오래 유지되고 포도당이 더 빨리 지방으로 변환된다. 하지만 식후 산책으로 근육을 사용하면 혈액 속 포도당이 소비돼 혈당을 낮추고 체지방이 쌓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제로 뉴질랜드 오타고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가벼운 걷기가 혈당을 낮춘다.

◇위 무력증이나 잦은 소화불량을 겪으면 피해자만 식후 산책이 독이 되는 사람도 있다. 대표적으로 ▲자주 속이 더부룩해지는 사람 ▲아침에 먹은 것이 점심까지 배가 불러 답답한 사람 등 평소 소화기관이 예민하고 약한 경우다. 식사를 한 뒤 적절한 소화를 위해 식후 혈액의 2030%는 위·장관에 가서 소화에 집중해야 한다. 하지만 식후에 운동을 하면 근육에 피가 집중돼 위·장관으로 향하는 혈류량이 감소하게 된다. 소화기가 건강한 사람이라면 달리기 등 과도한 운동을 하지 않는 이상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소화기가 약하면 아무리 가벼운 산책이라도 소화기에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위무력증(위운동장애) 등 위가 약한 사람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가벼운 산책이라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식사 후 1~2시간은 편안한 자세로 쉬면서 몸이 소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