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최민식이 최근 영화관이 대중의 사랑을 받지 못하는 배경에는 갑자기 인상한 티켓값이 있다고 지적하며 가격 인하를 공개 요구해 화제다.
최민식은 17일 MBC ‘손석희의 질문’에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의 등장으로 영화산업이 위기라는 한 시민의 말에 “(환경을) 탓하고 싶지는 않다. 세상이 변하고 있는데 세상을 탓해도 소용이 없다. (대중이) 짧고 자극적이며 말초적인 콘텐츠에 중독돼 가는 것은 분명하다고 입을 열었다.
최민식은 이어 영화산업의 핵심인 극장을 정조준했다. 그는 지금 극장 값도 많이 오르지 않았느냐. 잠깐 내려. 물 들어올 때 노를 저으면 갑자기 그렇게 확 올리면 나도 안 간다”며 “지금 (영화표값이) 1만5000원(금요일 포함 주말 기준)인데 스트리밍 서비스로 앉아서 몇 개를 보겠다, 발품을 팔아 (영화관을 찾던지)”라고 말했다.
최민식은 “팝콘에 커피, 끝나고 술이나 한잔하고 여자친구와 데이트하면 벌써 10만원이 날아간다”며 “지금 이 사람들(극장산업)도 코로나 때 죽었다가 살아난 사람들이라 심정적으로 이해는 되지만 부담스러운 가격은 맞다”고 강조했다.
영화산업이 OTT 등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문제다. 만드는 사람들이 잘 만들어야 한다. 관객 취향에 맞는 작품을 기획하자는 게 아니라 제가 하고 싶은 작품을 하려고 만든 게 ‘바묘’라며 “(관객들이) 이런 걸 좋아할 거라고 해서 되는 건 별로 본 적이 없다. 시스템에 대한 개선도 중요하지만 만드는 사람들이 자기 일에 집중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다.
수익성 때문에 대중성을 무시할 수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영화라는 매체가 돈이 많이 든다. 몇 백억원이나 든다. 내가 투자자라도 어떻게 본전도 못 찾을 수 있겠느냐”면서도 “아무리 어려워도 (작품성과 대중성)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결국 작가정신이 살아야 한다고 창작자의 역할을 강조했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극장 전체 매출액은 6103억원, 관객 수는 6293만 명이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4%(24억원), 7.8%(454만명) 증가한 성적이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전인 2017~2019년 상반기에는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해당 기간 상반기 평균 매출액은 8390억원, 평균 관객 수는 1억99만 명이었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평균 영화 관람요금은 9698원으로 3년 만에 1만원 아래로 떨어졌다. 평균 영화관람료가 1만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22년 상반기(1만77원) 이후 처음이다. 이 같은 현상은 아이맥스와 스크린X 등 티켓이 비싼 특수상영관 매출이 저조했던 영향을 받았다. 영진위는 특수상영관을 중심으로 흥행을 이어온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부진 때문으로 분석했다.
한편 멀티플렉스(대형 영화관) 3사(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는 2019년 주말 기준 최대 1만2000원이었던 티켓 가격을 2020~2022년 세 차례에 걸쳐 최대 1만5000원까지 인상을 단행했다. 이에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는 지난 6월 공정거래위원회에 멀티플렉스 3사를 티켓 가격 담합과 폭리 혐의로 신고하기도 했다. 시민단체들은 “3사의 영화 티켓 가격이 코로나 이후 단기간에 1만2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일제히 인상된 것은 담합에 의한 결과라는 의심이 들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영화관 연합단체인 한국상영발전협회는 시민단체의 주장을 반박했다. 협회는 “티켓값은 철저히 각 사업자의 경영 판단 하에 이뤄졌고 관람권 가격이 비슷한 것은 사업적 특성이 비슷하기 때문”이라며 “영화산업은 호황기였던 팬데믹 이전에 비해 60% 정도만 회복돼 손익분기점을 넘지 못하거나 투자를 받지 못하는 영화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