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술 등 몸에 좋지 않은 것만이 중독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다. 운동도 병적으로 갈망하는 상태인 ‘운동 중독’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운동중독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1일 1회 이상 규칙적인 스케줄에 맞춰 운동하기 ▲다른 활동보다 우선하기 ▲운동 내성 늘다 ▲중단 시 우울, 불안, 혼란 등 금단증상이 나타난다▲재개 시 금단증상이 경감된다 ▲운동에 대한 갈망을 경험하는 등이 있다. 이 중 2개 이상 해당된다면 운동 중독이다. 이주강 가천대 길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운동중독에 걸려 자신의 일상에 영향을 줄 정도로 탐닉하고 있다면 이미 중독이 시작된 단계”라며 “심지어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흡연자나 알코올중독자가 담배와 음주를 즐기듯 습관적으로 운동만 반복하는 상황에 빠지게 되면 운동중독에 빠진 상태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운동에 중독되면 운동이 가진 긍정적인 측면을 넘어 피해를 볼 수 있다. 운동에 대한 집착이 사회 활동에 지장을 주고 자기 조절 능력에 문제를 유발한다. 또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인대 손상·근육 파열 등 근골격계 부상이 생길 수 있다. 이주강 교수는 “특히 근골격계 질환이나 심장질환 등이 있는 경우 운동중독 때 생기는 피해가 매우 크다”며 “잘못된 운동자세, 고강도 운동 등으로 통증이 심해져 신체 변형과 같은 부상이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극히 일부지만 운동 도중 갑작스러운 심장발작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운동중독은 특히 ▲자존감이 낮고 우울증을 앓는 사람일수록 ▲고강도 저항운동을 하는 사람일수록 강하게 유발된다. 운동을 하면 뇌에서 엔도르핀, 아난다마이드 등 행복호르몬이 분비된다. 불안, 우울증 완화는 물론 스트레스 감소, 성취감 등을 느끼게 돼 평소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있는 사람에게 더운 영향을 미친다. 또 신체의 한계를 넘어선 운동을 하면 심한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뇌에서 호르몬이 분비된다. 이때 곧바로 기분이 좋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어 중독될 위험이 높아진다.
물론 고중량 운동을 하는 사람만 중독되는 것은 아니다. 걷기 등 저강도 운동으로도 운동 중독이 될 수 있다. 매일 3km 정도 규칙적으로 3~4개월 걸으면 운동 중독이 될 수 있다. 하루라도 걷지 못하면 불안과 죄책감에 사로잡혀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또 등산을 즐기는 중년이 자신의 무릎 상태를 신경 쓰지 않고 등산을 해 무릎 염증이 더 악화될 때도 운동 중독으로 볼 수 있다. 이병훈 가천대 길병원 교수는 “가끔 운동 중독으로 등산을 멈추지 못해 염증이 악화돼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한 상황에 놓이는 중년도 있다”며 “운동은 건강에 꼭 필요하지만 신체 노화로 근력이 줄고 관절을 보호하는 인대 등의 기능도 약해진 중년은 자신의 신체 상태를 고려해 운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 동영상: 운동하고 싶지 않은 나! 정상이었어🧠|원래 우리 몸은 운동하는 걸 싫어해!
운동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운동의 목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장한 각오보다는 즐긴다는 생각으로 운동에 임하는 것이 좋다. 운동 스케줄을 주 3~5회 정도로 제한하고 하루 운동하면 하루 휴식을 취하는 것도 좋다. 또 무리한 운동으로 만성피로 등이 유발되면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주강 교수는 “운동중독에 빠지면 운동을 할 수 없을 때 운동 갈망이 생기고 불안, 우울, 죄책감 등에 사로잡히게 된다”며 “운동중독에 빠지지 않기 위해 전문가의 조언 아래 운동을 시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