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은만큼 운동해야 한다는 말 사실 위험하다??

먹고 싶은 것을 많이 먹은 뒤 살이 찔까 봐 강박적으로 운동하는 사람이 많다. 언뜻 건강해 보이지만 실은 신경성 과식증의 일종일 수 있다.

신경성과식증은 음식을 먹으려는 욕구와 체형을 엄격하게 관리하려는 마음이 충돌해 생기는 정신적 질환이다. 평소 식사량을 철저히 조절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 등 외부 자극이 주어지면 단시간에 폭식한다. 이때는 아이스크림·케이크·초콜릿 등 달고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주로 먹는다. 이후 살이 찔 정도로 먹었다는 죄책감과 우울감을 해소하기 위해 과도하게 운동하거나 먹은 것을 일부러 토하거나 지사제·이뇨제를 복용해 체중을 줄이는 등 보상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문제는 보상 행동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이다. 몸을 혹사하면서 운동하면 몸이 피곤하고 면역력이 떨어진다. 이뇨제나 변비약을 복용하면 대변과 수분이 몸 밖으로 배출돼 체중이 일시 감소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체내 수분 등을 배출할 뿐 체지방 감소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래 복용하면 신체 기능이 오히려 망가진다. 이뇨제를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 신부전증이 생길 수 있고 변비약을 상습 복용하면 장의 기능이 떨어진다. 손가락을 목구멍에 넣고 구토를 반복하면 위산에 치아가 손상되고 식도에 염증이 생긴다. 위가 파열되거나 식도가 찢어지는 합병증이 생길 위험도 있다.

본인과 주변 사람들은 과식증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종종 폭식해도 체중을 엄격하게 관리하기 때문에 과체중보다는 정상체중인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정한 시간 동안 대부분의 사람보다 확실히 많은 양의 음식을 먹고 ▲먹을 때는 조절 능력이 사라지는 특징을 보이며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부적절한 보상 행동을 반복한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만나보는 것이 좋다. 보상 행동에는 스스로 유도한 구토, 이뇨제 등 약물 남용, 단식, 과도한 운동 등이 있다. 폭식과 부적절한 보상 행동 모두 최소 평균 주 1회 이상, 3개월간 일어나면 신경성 폭식증으로 진단된다. 이 밖에도 체형과 체중이 자신의 자존감을 좌우할 때 신경성과식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신경성과식증 환자는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 시스템을 항진시키는 항우울제를 복용할 수 있다. 동시에 체중에 대한 잘못된 믿음을 교정하는 인지행동치료를 받는다. 신경성 과식증을 극복하려면 자기 자신에게 관대해야 한다. 자신에게 지나치게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기 때문에 본인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체중을 유지하려는 강박도 생긴다. 음식을 먹은 후에 과도하게 운동하려고 하지 말고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한 것으로 만족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식사는 반드시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체중을 조절하기 위해 굶거나 식사를 극도로 제한하면 심리적 배고픔이 커져 오히려 폭식하기 쉽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